[강의] 진행 중인 강좌, 종료된 강좌
[온라인 강좌] 글쓰기가 두려운 어른을 위한, 마음을 움직이는 한 문장 쓰기 (CLASS 101)
글쓰기는 자전거 타기와 비슷합니다.
좋은 글의 3가지 원칙
나쁜 글의 3가지 유형
아이디어를 글감으로 바꾸는 요령
무궁무진한 글감인 소재 연관성 찾는 법
다양한 메모 도구를 사용해보면서 나만의 루틴 찾기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메모를 가공하는 요령
단어 고르기: 단어를 맥락에 맞게 골라보자.
단어 연결하기: 두 단어를 연결하면 구체적 글감이 된다.
한 문장 잘 쓰기: 독자의 마음은 한 문장에 움직인다.
기본 문장 공식 5개 연습하기
고급 문장 유형 5개 검토하기
판단과 근거로 이루어지는 글의 구성
재미와 이해도를 높이는 글의 흐름 짜기
게시판/이메일 제목 쓰기
트위터 140자로 짧은 문장 쓰기 연습
3문장으로 안부/인사/축하/감사의 글 작성하기
2단락으로 영화 리뷰 작성하기
3단락으로 도서 리뷰 작성하기
다른 사람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글쓰기와 삶의 조화를 위한 조언
[온라인 강좌] 교사에게 필요한 글쓰기 기본기 (창비원격연수원/교사용)
좋은 글의 원칙(1) 내용 편
좋은 글의 원칙(2) 형식 편
메모 기술
인용법/저작권 상식
자료 수집과 정리
구상(1) 일반 연상
구상(2) 자유 연상
구성(1) 개요 짜기
구성(2) 주제 도출
쓰기(1) 일기
쓰기(2) 독서 감상문
쓰기(3) 영화 감상문
쓰기(4) 체험 보고서
쓰기(5) 수필
쓰기(6) 기행문
쓰기(7) 주장하는 글
쓰기(8) 논술 기초 편
쓰기(9) 논술 응용 편
쓰기(10) 자기소개서
주술 관계
호응 관계
단락 관계
군더더기 없애기
낭독
외국어 투 바루기
문법(1) 품사와 문장성분
문법(2) 기본형과 활용형
문법(3) 띄어쓰기
문법(4) 문장부호
아름다운 말과 글
[강좌] <서유견문> 읽기와 글쓰기 (종료)
- 유길준의 삶과 <서유견문>
- 원문 주요 구절 읽기
- 유길준의 표현법과 개념 규정 방법
[강좌] 한국어로 글을 쓴다는 것 (종료)
제1강: 훈민정음 이전의 한국어 글쓰기
제2강: 훈민정음 창제 후의 한국어 글쓰기
제3강: 근대 한국어 글쓰기
제4강: 한국어 글쓰기의 현재와 미래
[강좌] 공리주의 고전 읽기 (종료)
제1강: 제러미 벤담, <파놉티콘>
제2강: 존 스튜어트 밀, <공리주의>
제3강: 피터 싱어, <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가?>
[강좌] 논픽션 명작과 함께하는 교양 인문학 (종료)
개요: ‘진실 전달’이라는 목적을 일관되게 추구했던 논픽션 명작들의 주요 구절을 읽으며, 우리가 사는 세계에 필요한 실천적 가치를 검토해 보는 교양 인문학 강의.
제1강: 삶을 기록하는 즐거움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이탈리아 기행>
제2강: 진실이 알려지는 길| 에밀 졸라, <나는 고발한다>
제3강: 이론이 실천을 만날 때 | 프리드리히 엥겔스,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참조: <공산당 선언>)
제4강: 아픔을 기록하는 작가의 눈 | 오에 겐자부로, <히로시마 노트>, <오키나와 노트>
제5강: 슬픔을 기억하는 작가의 귀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체르노빌의 목소리>
제6강: 말과 삶의 연관 속에서 | 조지 오웰, <정치와 영어>(참조: <1984>)
제7강: 소설과 르포 사이에서 | 존 스타인벡,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참조: <분노의 포도>)
제8강: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 황재문, <안중근 평전>(참조: 제임스 콘, <맬컴X vs. 마틴 루터 킹>)
[강좌] 서양 고전으로 배우는 기초 인문학 (종료)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론>부터 존 롤즈의 <정의론>에 이르기까지 ‘올바름’이라는 커다란 주제 아래에, 인류 정신사에 영향을 많이 끼친 서양 인문 고전들의 주요 구절을 영어 대본으로 읽으며 기초 인문 개념들과 사상사적 맥락을 살펴보는 교양 인문학 강의.
1강. 개괄 | 고전 읽기
2강. 플라톤 | <소크라테스의 변론>
3강. 플라톤 | <국가>
4강. 아리스토텔레스 | <형이상학>
5강. 프랜시스 베이컨 | <신기관>
6강. 토마스 홉스 | <리바이어던>
7강. 애덤 스미스 | <도덕감정론>
8강. 제러미 벤담 | <도덕과 입법의 원칙에 관한 서론>
9강. 존 스튜어트 밀 | <공리주의>
10강. 존 스튜어트 밀 | <자유론>
11강. 존 롤즈 | <정의론>
12강. 개괄 | 현대 사상
[강좌] 서양 역사로 배우는 기초 인문학 (종료)
서양 역사 고전이나 연설문 등의 유명한 구절을 영어 대본으로 읽으며 기초적인 인문교양을 쌓고, 아울러 인류 역사의 전개 과정과 시대적 맥락을 파악해 보는 강의.
1강. 개관: 역사 공부의 목적과 방법
2강. 투퀴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역사와 역사학
3강. <대헌장>: 왕권 축소와 시민권의 태동
4강. 토머스 모어, <유토피아>: 인클로저 운동
5강. 마르틴 루터, <95개조 반박문>: 교회의 타락
6강. 라스 카사스, <인디아스 파괴에 관한 간략한 보고서>: 해상 패권과 식민주의
7강. 존 로크, <통치론>: 천부인권이 된 재산권
8강. 에드먼드 버크, <프랑스 혁명에 관한 성찰>: 보수주의란 무엇인가
9강.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 <공산당 선언>: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
10강. 에이브러험 링컨, <게티스버그 연설>: 인민의 인민에 의한 인민을 위한 정부
11강. 마틴 루터 킹 2세, <노예 해방 100주년 연설: 내게는 꿈이 있습니다>: 끝나지 않은 인권 투쟁
12강. 유럽연합 헌법: 소유에서 공유로
[강좌] 인문 고전에서 배우는 글쓰기 기술 (종료)
글을 잘 쓰려면 먼저 좋은 글을 판별할 줄 알아야 한다. 모범이 될 만한 훌륭한 작품을 골라 읽으며 그 사상과 표현법을 닮고자 노력하고 실천하면 우리도 얼마든지 훌륭한 글을 쓸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습관에서 비롯하여 독자를 감동시키는 아름다운 표현법에 이르기까지, 인문 고전에 깃들어 있는 표현의 보편 원칙에 관해 배워 보자.
제1강: 기록하는 태도
- 괴테, <이탈리아 기행>
제2강: 개념과 비유
- 플라톤, <국가> 제7권
제3강: 말과 삶의 관계
- 조지 오웰, <1984>
제4강: 사실과 허구의 사이
- 존 스타인벡, <분노의 포도>
제5강: 공감과 이해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체르노빌의 목소리>
* 강의 때 언급한 자료들
제1강: 기록하는 태도
괴테, <파우스트>
괴테, <괴테 자서전, 시와 진실>
박지원, <열하일기>
셰익스피어, <베니스의 상인>
셰익스피어, <오셀로>
호메로스, <오뒷세이아>
팀 마샬, <지리의 힘>
지름 12센티미터 정도 지구본(구입 권유)
<곁에 두는 세계사>(구입 권유)
제2강: 개념과 비유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론>
플라톤, <정치가>
루소, <에밀>
프랜시스 베이컨, <신기관>
리처드 토이, <수사학>
존 롤즈, <정의론>
제3강: 말과 삶의 관계
George Owell, “Politics and the English Language”(조지 오웰, <나는 어떻게 쓰는가?>)
조지 오웰, <카탈로니아 찬가>
제러미 벤담, <파놉티콘>
존 스튜어트 밀, <공리주의>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제4강: 사실과 허구의 사이
<요한계시록> 제14장
토머스 모어, <유토피아>
마르크스·엥겔스, <공산당 선언>
존 스타인벡,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Abraham Lincoln, The Gettysburg Address
John Steinbeck, “The Harvest Gypsies”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브루스터 닌,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
존 로크, <통치론>
토마 피케티, <21세기 자본>
제러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제러미 리프킨, <유러피언 드림>
제5강: 공감과 이해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세컨 핸드 타임>
오에 겐자부로, <히로시마 노트>
오에 겐자부로, <말의 정의>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서부 전선 이상 없다>
단테 알레기에리, <신곡> “지옥편”
이마미치 도모노부, <단테 신곡 강의>
거자오광, <중국사상사>
다카기 진자부로, “생명의 자리에서 원자력발전을 생각한다“, 《녹색평론》제20호
[영상] 디스커버리 채널, <체르노빌 전투>
[영상] 구로사와 아키라, “Dreams” episode7.
[영상] KBS, <사용 후 핵연료 특별기획 제1편: 10만 년 후>
[영상] SBS, <대지진 경고! 지금 일본은>
[강좌] 번역자를 위한 한국어 문장강화 (종료)
초보 번역자, 외서 편집자에게 올바른 한국어 사용법을 알려주는 실용 강의.
내용:
1강: 좋은 글 고르기
- 주제가 명료한가
- 출처가 정확한가
- 근거가 충분한가
- 책임이 분명한가
2강: 용어 다루기
- 비슷한 용어 구별
- 잘못 쓰는 말 비판
- 새로운 표현 제안
3강: 맥락 살피기
- 출발어의 맥락
- 도착어의 맥락
- 오역이 일어나는 조건
4강: 문장 다듬기
- 오류 줄이기
- 군더더기 없애기
- 문장의 격 맞추기
- 외국어 투 바루기
5강: 문법 지식 갖추기
- 문법 공부 요령
- 문장 부호 사용
6강: 배경 지식 활용하기
- 역주
- 해설
* 교재: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유유)
[단행본] <공감 글쓰기>(뿌리와이파리)
[단행본] <글쓰기 멘토링>(뿌리와이파리)
[단행본] <정보화가 세상을 바꿀까?>(웅진씽크빅)
[단행본] <인터넷 시대의 글읽기 블로그 시대의 글쓰기>(KT문화재단)
[번역서] <파리에 가면 키스를 훔쳐라>(푸른숲)
[번역서] <퍼펙트 레드>(바세)
[번역서]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생각의나무)
[연재]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글쓰기 기본기」 1회~24회 (네이버)
[연재] 제 이름을 되찾을 때 역사는 조금씩 개선된다 (부산대학교 신문)
[연재] 화산 폭발이 바꾼 역사의 흐름 (부산대학교 신문)
[연재] 4월 제주의 쓰라린 상처 (부산대학교 신문)
[연재] 새 국면을 맞이한 파놉티콘 시대 (부산대학교 신문)
[연재] 의심하고 확인하라 (부산대학교 신문)
[기고] 디지털 기록의 신뢰도, 출처를 의심하는 태도에 달렸다 (<기록인> 제26호, 국가기록원)
[기고] 독자의 판단을 돕는 글이 좋은 글 (<서강학보> 제66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