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책)
인간의 정신은 과연 우리가 옳은지를 살펴보는 내적 의심이라는 작은 불빛을 통해서만 빛날 수 있다.
“하루하루의 식사를 기록한 지 어느덧 28년이 흘렀습니다. … ‘지금도 계속 쓰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물론 지금도 매일 쓰고 있습니다. 특별히 그만둘 이유도 없고, 28년이나 해온 일을 멈추는 데에는 꽤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멈추는 것보다 계속하는 편이 편한 일도 있습니다. … 계속 쓸 수 있다는 것은 제 자신이 계속 건강하고, 살고 있는 지역에 전쟁이나 테러도 없었을 뿐더러 심각한 자연재해를 당하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생각해보면 제가 이렇게나 오랫동안 매일 그날 그날 … 적어갈 수 있었던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인지도 모릅니다. … 저의 은밀한 꿈은 이 책에 나와 있는 어딘가의 식당에서, 제 책을 보고 오셨다는 분과 우연히 만나게 되는 일입니다.”
- 시노다 나오키, «시노다 부장의 식사일지»
벤지, 퀜틴, 제이슨이 화자가 되어 일인칭시점에서 서술하는 첫 세 장에서 독자는 화자가 되어 소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강요 받는다. … 백치인 벤지 섹션에서 작가의 전지적 시점으로 서술되는 딜지 섹션으로 가는 과정은 ‘닫힌 영역’에서 ‘열린 영역’으로의 이행. “어둠에서 밝음으로의 이행”이라고 할 수 있다. … 벤지 섹션에서 단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절반이 넘는다. 단문들은 종속절로 구성되지 않고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배치된다. … 주절과 종속절 사이에 논리적 관계가 형성되지 않을뿐더러 그 중요성의 차별도 두지 않는 것이다. … 문장과 문법이 해체되며 걷잡을 수 없이 난해해진다. 마지막에서 두번째 단락에 이르러서는 그렇게 해체된 파편적 문장에 일인칭 주어마저 소문자로 표기되어 퀜틴이 심오한 무의식에 빠져 자아를 상실하고… – 역자 해설 중.
- 윌리엄 포크너, «소리와 분노», 문학동네, 2014.
- 강유원, «숨은 신을 찾아서», 라티오, 2016.
- 강유원, «에로스를 찾아서», 라티오, 2017.
- 강유원, «역사 고전 강의», 라티오, 2012.
- 강유원, «인문 고전 강의», 라티오, 2010.
- 강유원, «철학 고전 강의», 라티오, 2016.
- 구로사와 아키라(黒澤明), 김경남 옮김, «자서전 비슷한 것», 모비딕, 2014.
- 김구용 역주, «노자», 정음사, 1979.
- 김슬옹(해제), «훈민정음 해례본», 교보문고, 2015.
- 김정선·이석윤·소광희, «철학의 제문제», 벽호, 1999.
- 남경희, «플라톤: 서양철학의 기원과 토대», 아카넷, 2013.
- 노마 히데키(野間秀樹), 김진아 등 옮김, «한글의 탄생», 돌베개, 2011.
- 니콜라이 하르트만(Nicolai Hartmann), 하기락 옮김, «정신철학원론», 이문출판사, 1990.
-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 ), 강정인 등 옮김, «군주론», 까치, 2003.
- 니홀라스 할라스(Nicholas Halasz), 황의방 옮김, «나는 고발한다 – 드레퓌스사건과 집단히스테리», 한길사, 2015.
- 대니얼 디포(Daniel Defoe), 남명성 옮김, «로빈슨 크루소», 펭귄클래식, 2016(2008).
- 데이비드 아불라피아(David Abulafia), 이순호 옮김, «위대한 바다», 책과함께, 2013.
- 도널드 케이건(Donald Kagan), 박재욱(옮김), «투퀴디데스, 역사를 다시 쓰다», 휴머니스트, 2013.
- 라인하르트 코젤렉(Reinhart Koselleck), 황선애 옮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2: 진보», 푸른역사, 2010.
- 라파엘 젤리히만(Rafael Seligmann), 박정희 등 옮김, «집단애국의 탄생 히틀러», 생각의나무, 2008.
- 로버트 맥키(Robert McKee), 고영범·이승민 옮김,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민음인, 2011(2002).
- 로버트 솔로몬(Robert C. Solomon)·캐슬린 히긴스(Kathleen M. Higgins), 박창호(옮김), «세상의 모든 철학», 이론과실천, 2007.
- 롤프-베른하르트 에시히(Rolf-bernhard Essig), 배수아 옮김, «글쓰기의 기쁨», 주니어김영사, 2010.
- 루돌프 피어하우스(지음), 라인하르트 코젤렉(엮음), 공진성(옮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7: 자유주의», 푸른역사, 2014.
- 리오 휴버먼(Leo Huberman), 장상환 옮김,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 책벌레, 2007(2000).
-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가토 슈이치(加藤周一), 임성모 옮김,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13(2000).
-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 이창신 옮김,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 마크 길더러스(Mark T. Gilderhus), 강유원·이재만 옮김, «역사와 역사가들», 이론과실천, 2009.
- 마크 헨리(Mark C. Henrie), 강유원 등 옮김, «인문학 스터디», 라티오, 2009.
- 막스 베버(Max Weber), 전성우 옮김, «직업으로서의 정치», 나남출판, 2007.
- 매슈 레이놀즈(Matthew Reynolds), 이재만 옮김, «번역», 교유서가, 2017.
- 메리 셸리(Mary Shelley), 김선형 옮김, «프랑켄슈타인», 문학동네, 2016(2012).
- 박홍규, «희랍철학논고», 민음사, 2007.
- 발레리 한센(Valerie Hansen), 류형식 옮김, «실크로드-7개의 도시», 소와당, 2015.
- 베르너 콘체(지음), 라인하르트 코젤렉 등(엮음), 이진모(옮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10: 노동과 노동자», 푸른역사, 2014.
- 보헤티우스(An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정의채 옮김, «철학의 위안», 바오로딸, 2007.
- 브루노 라투르 등(Bruno Latour), 홍성욱 엮음, «인간, 사물, 동맹», 이음, 2010.
- 브루스터 닌(Brewster Kneen), 안진환 옮김,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 시대의창, 2008.
-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 안혜련 옮김, «시골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나남, 2011.
- 빅터 피게로아 클라크(Victor Figueroa Clark), 정인환 옮김, «살바도르 아옌데: 혁명적 민주주의자 », 서해문집, 2016.
- 빌헬름 딜타이(Wilhelm Dilthey), 김창래 옮김, «정신과학에서 역사적 세계의 건립», 아카넷, 2009.
- 사마천(司馬遷), 이성규 편역, «사마천 사기», 서울대출판부, 2008.
- 사울 알린스키(Saul D. Alinsky), 박순성·박지우 옮김, «급진주의자들을 위한 규칙», 아르케, 2016(2008).
- 성백효 역주, «맹자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01.
- 셰일라 커런 버나드(Sheila Curran Bernard), 양기석 옮김,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 소포클레스(Σοφοκλῆς), 천병희 옮김,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숲, 2016(2008).
- 슈테판 츠바이크(Stefan Zweig), 안인희 옮김, «위로하는 정신», 유유, 2012.
- 슈테판 츠바이크(Stefan Zweig), 안인희 옮김, «츠바이크의 발자크 평전», 푸른숲, 2015(1998).
- 슈테판 츠바이크(Stefan Zweig), 원당희 옮김, «천재 광기 열정1», 세창미디어, 2014(2009).
- 슈테판 츠바이크(Stefan Zweig), 원당희 옮김, «천재 광기 열정2», 세창미디어, 2009.
- 슈테판 츠바이크(Stefan Zweig), 정민영 옮김, «슈테판 츠바이크의 에라스무스 평전», 아롬미디어, 2015(2006).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Святлана Алексіевіч), 김은혜 옮김, «체르노빌의 목소리», 새잎, 2015(2011).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Святлана Алексіевіч), 김하은 옮김, «세컨드핸드 타임: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최후», 이야기가있는집, 2016.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Святлана Алексіевіч), 박은정 옮김, «아연 소년들», 문학동네, 2017.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Святлана Алексіевіч), 박은정 옮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문학동네, 2015.
-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 지음, 김한영·문미선·신효식 옮김, «언어본능», 동녘사이언스, 2015(2008).
- 승계호(T. K. Seung), 김주성 등 옮김, «직관과 구성», 나남, 1997.
-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심경호 옮김, «한자 백 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13(2005).
- 아르데 다니엘스(Arne Daniels)·슈테판 슈미츠(Stefan Scmitz), 조경수 옮김, «자본주의 250년의 역사», 미래의창, 2007.
- 아리스토텔레스(Aριστοτέλης), 강상진 등 옮김, «니코마코스 윤리학», 길, 2014(2011).
- 아리스토텔레스(Aριστοτέλης), 천병희 옮김, «수사학/시학», 숲출판사, 2017.
- 앙토냉 질베르 세르티양주(Antonin-Gilbert Sertillanges), 이재만 옮김, «공부하는 삶», 유유, 2013.
- 애덤 스미스(Adam Smith), 김수행 옮김, «국부론», 동아출판사, 1993(1992).
- 애덤 스미스(Adam Smith), 박세일·민경국 옮김, «도덕감정론», 비봉출판사, 2009(1996).
- 앨런 브링클리(Alan Brinkley), 황혜성 등 옮김,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1», 휴머니스트, 2011(2005).
- 앨런 브링클리(Alan Brinkley), 황혜성 등 옮김,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2», 휴머니스트, 2011(2005).
- 야나부 아키라(柳父章), 서혜영 옮김, «번역어 성립 사정», 일빛, 2004.
- 야콥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 안인희 옮김, «세계 역사의 관찰», 휴머니스트, 2010(2008).
- 야콥 브로노프스키(Jacob Bronowski), 김은국 옮김, «인간 등정의 발자취», 범양사, 1998.
- 양자오(楊照), 문현선 옮김, «장자를 읽다», 유유, 2015.
- 양자오(楊照), 정병윤 옮김, «노자를 읽다», 유유, 2015.
- 어거스틴(St. Augustine), 선한용 옮김, «성 어거스틴의 고백록», 대한기독교서회, 2015(2003).
- 에드워드 맥널 번즈(Edward McNall Burns)·로버트 러너(Robert E. Lerner)·스탠디시 미첨(Standish Meacham), 박상익 옮김, «서양 문명의 역사(상)», 소나무, 2011(1994).
- 에드워드 맥널 번즈(Edward McNall Burns)·로버트 러너(Robert E. Lerner)·스탠디시 미첨(Standish Meacham), 손세호 옮김, «서양 문명의 역사(하)», 소나무, 2011.
- 에른스트 곰브리치(Ernst Hans Josef Gombrich), 백승길 등 옮김, «서양미술사», 예경, 1997.
- 에른스트 캇시러(Ernst Cassirer), 최명관 옮김, «인간이란 무엇인가», 창, 2008.
- 에우리피데스(Εὐριπίδης), 천병희 옮김,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1», 숲, 2018(2009).
- 에이드리언 데스먼드(Adrian Desmond)·제임스 무어(James Moore), 김명주 옮김, «다윈 평전», 뿌리와이파리, 2009.
- 에티엔느 질송(Etienne Gilson), 김태규 옮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이해», 성균관대출판부, 2011.
-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 송태욱(옮김), «말의 정의», 뮤진트리, 2014.
-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 이애숙(옮김), «오키나와 노트», 삼천리, 2012.
-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 이애숙(옮김), «히로시마 노트», 삼천리, 2012.
-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 이성규·허정애 옮김, «멋진 신세계·다시 가본 멋진 신세계», 범우사, 1999(1989).
-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박환덕 옮김, «파우스트», 범우사, 1991.
-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전영애·최민숙 옮김, «괴테 자서전: 시와 진실», 민음사, 2009.
- 요한 볼프강 폰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홍성광 옮김, «이탈리아 기행», 펭귄클래식코리아.
-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 최홍숙 옮김, «중세의 가을», 문학과지성사, 2010.
- 우노 시게키(宇野重規), 신정원 옮김, «서양 정치사상사 산책», 교유서가, 2014.
- 월쉬(William Henry Walsh), 이한우 옮김, «형이상학», 문예출판사, 1996.
- 윌리엄 데이비드 로스(William David Ross), 김진성 옮김, «아리스토텔레스», 세창출판사, 2016.
-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김정환 옮김, «맥베스», 아침이슬, 2012(2008).
-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김정환 옮김, «오셀로», 아침이슬, 2008.
-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이경식 옮김, «템페스트», 문학동네, 2016(2010).
-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최종철 옮김, «리어 왕», 민음사, 2013(2005).
- 윌리엄 암스트롱(William H. Armstrong), 윤지산·윤태준 옮김, «단단한 공부», 유유, 2012.
- 유길준(兪吉濬), 허경진 옮김, «서유견문», 서해문집, 2013(2004).
-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 조현욱 옮김, «사피엔스», 김영사, 2015.
- 이마미치 도모노부(今道友信), 이영미 옮김, «단테 신곡 강의», 안티쿠스, 2008.
- 이마미치 도모노부(今道友信), 정명환 옮김, «에코에티카», 기파랑, 2013.
- 이순신(李舜臣), 노승석 옮김, «난중일기», 여해, 2016.
- 이영림·주경철·최갑수, «근대 유럽의 형성», 까치, 2011.
- 이주명 편역, «원문 사료로 읽는 한국 근대사», 필맥, 2014.
- 이해영, «전국시대 비판철학», 문사철, 2009.
- 장 보댕(Jean Bodin), 나정원 옮김, «국가에 관한 6권의 책 (1) 국가, 권리, 주권론», 아카넷, 2013.
- 장 자크 루소(J. J. Rousseau), 김중현 옮김, «에밀», 한길사, 2016(2003).
- 정경원·김수진·나송주·윤용욱·이은해·김유진, «스페인어권 용어사전3», 한국학술정보, 2016.
- 정문태, «전선기자 정문태 전쟁취재 기록», 푸른숲, 2016.
- 제임스 W. 페니베이커(지음), 김아영(옮김), «단어의 사생활», 사이, 2016.
- 제임스 매클렐란(James E. III McClellan)·해럴드 도른(Harold Dorn), 전대호 옮김, «과학과 기술로 본 세계사 강의», 모티브, 2008.
-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 왕수민 옮김, «바른 마음», 웅진지식하우스, 2016(2014).
- 조슈아 그린(Joshua Greene), 최호영 옮김, «옳고 그름», 시공사, 2017.
- 조슈아 포어(Joshua Foer), 류현 옮김, «1년 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 남자», 갤리온, 2016.
-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마크 존슨(Mark Johnson), 노양진 옮김,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17(2006).
- 조지 오웰(George Orwell), 이한중 옮김, «나는 왜 쓰는가», 한겨레출판, 2015(2010).
- 조지 오웰(George Orwell), 정회성 옮김, «1984», 민음사, 2015(2003).
- 조지 오웰(George Orwell), 정효석 옮김, «카탈로니아 찬가», 풀무질, 1995.
- 존 H. 아널드(John H. Arnold), 이재만 옮김, «역사», 교유서가, 2015.
- 존 롤즈(John Rawls), 김주휘 옮김, «공정으로서의 정의», 이학사, 2016.
- 존 스타인벡(John Ernst Steinbeck), 김승욱 옮김, «분노의 포도», 민음사, 2012.
- 존 스타인벡(John Ernst Steinbeck), 안정효 옮김,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김영사, 2011.
- 진실의 힘 세월호 기록팀, «세월호, 그날의 기록», 진실의 힘, 2016.
-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 이은정 옮김, «두 도시 이야기», 펭귄클래식 코리아, 2014(2012).
- 찰스 킨들버거(Charles P. Kindleberger), 주경철 옮김, «경제 강대국 흥망사 1500-1990», 까치, 2014(2004).
- 최경봉, «한글 민주주의», 책과함께, 2012.
- 칼 뢰비트(Karl Löwith), 이상률 옮김, «베버와 마르크스», 문예출판사, 2003(1992).
- 칼 마르크스(Karl Marx)·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 강유원 옮김, «공산당 선언», 이론과실천, 2008.
- 칼 세이건(Carl Edward Sagan), 홍승수 옮김, «코스모스», 사이언스북스, 2015(2006).
- 칼 슈미트(Carl Schmitt), 김남시 옮김, «땅과 바다», 꾸리에북스, 2016.
- 칼 알베르트(Karl Albert), 임성철 옮김, «플라톤의 철학 개념»,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2.
- 퀜틴 스키너(Quentin Skinner), 박동천 옮김,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2», 한국문화사, 2012.
-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 안재원 편역, «수사학», 길, 2013(2006).
- 타밈 안사리(Tamim Ansary), 류한원 옮김,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뿌리와이파리, 2011.
- 타키투스(Publius Cornelius Tacitus), 천병희 옮김, «게르마니아», 숲, 2017(2012).
- 테오도르 몸젠(Theodor Mommsen), 김난우 등 옮김, «몸젠의 로마사3», 푸른역사, 2015.
- 토마스 모어(Thomas More), 주경철 옮김, «유토피아», 을유문화사, 2007.
- 토마스 알렉산더 슬레작(Thomas Alexander Szlezák), 임성철 옮김, «플라톤 읽기»,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진석용 옮김, «리바이어던1», 나남, 2008.
- 토머스 미사(Thomas J. Misa), 소하영 옮김, «다빈치에서 인터넷까지», 글램북스, 2015.
- 팀 마샬(Tim Marshall), 김미선 옮김, «지리의 힘», 사이, 2016.
- 팀 오브라이언(Tim O’Brien), 김준태 옮김, «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 한얼미디어, 2004.
-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 강주헌 옮김, «지중해의 기억», 한길사, 2016(2006).
-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진석용 옮김, «신기관», 한길사, 2016(2001).
-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 강유원 옮김,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이론과실천, 2008.
-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 이재만 옮김,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 라티오, 2014.
- 플라톤(Πλάτων), 강성훈 옮김, «프로타고라스», 정암학당, 2011.
- 플라톤(Πλάτων), 강철웅 옮김, «향연», 정암학당, 2011(2010).
- 플라톤(Πλάτων), 김인곤 옮김, «고르기아스», 정암학당, 2014(2011).
- 플라톤(Πλάτων), 김주일 옮김, «에우튀데모스», 정암학당, 2011(2008).
- 플라톤(Πλάτων), 김태경 옮김, «정치가», 한길사, 2011(2000).
- 플라톤(Πλάτων), 박종현 옮김, «국가», 서광사, 2011(1997).
- 플라톤(Πλάτων), 박종현 옮김, «법률», 서광사, 2009.
- 플라톤(Πλάτων), 박종현 옮김, «소크라테스의 변론»
- 플라톤(Πλάτων), 박종현 옮김, «에우티프론»
- 플라톤(Πλάτων), 박종현·김영균 공동 역주,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5(2000).
- 플라톤(Πλἀτων), 이기백 옮김, «크리톤», 정암학당, 2009.
- 플라톤(Πλάτων), 이상인 옮김, «메논», 정암학당, 2010(2009).
- 플라톤(Πλάτων), 전헌상 옮김, «파이돈», 정암학당, 2015(2013).
- 플라톤(Πλάτων), 정준영 옮김, «테아이테토스», 정암학당, 2013.
- 플라톤(Πλάτων), 조대호 옮김, «파이드로스», 문예출판사, 2008.
- 피터 볼(Peter K. Bol), 심의용 옮김,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북스토리, 2008.
- 피터 스턴스(Peter N. Stearns), 최재인 옮김, «세계사 공부의 기초», 삼천리, 2015.
- 피터 싱어(Peter Singer), 노승영(옮김), «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가», 시대의창, 2014.
- 하세가와 히로시(長谷川宏), 조영렬 옮김, «지금 당장 읽고 싶은 철학의 명저», 교유서가, 2014.
- 한국동양철학회(엮음),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연세대출판부, 1990.
- 한국미국사학회 엮음, «사료로 읽는 미국사», 궁리, 2006.
-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 이길우 등 옮김, «진리와 방법1», 문학동네, 2012(2010).
-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 임홍배 옮김, «진리와 방법2», 문학동네, 2012.
- 허먼 멜빌(Herman Melville), 김석희 옮김, «모비딕», 작가정신, 2010.
- 헌트·라우첸하이저(Emery Kay Hunt·Mark Lautzenheiser), 홍기빈 옮김, «E. K. 헌트의 경제사상사», 시대의창, 2015.
- 헤르만 프랭켈(Hermann Ferdinand Fränkel), 김남우·홍사현 옮김, «초기 희랍의 문학과 철학», 아카넷, 2011.
- 호르스트 슈투케(지음), 라인하르트 코젤렉 등(엮음), 남기호(옮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6: 계몽», 푸른역사, 2014.
- 황재문, «안중근 평전», 한겨레출판, 2012.
- 황현(黃玹), 허경진 옮김, «매천야록», 서해문집, 2016(2006).
- 후카이 토모아키(深井智朗), 홍이표 옮김, «신학을 다시 묻다», 비아, 2018.
- 훌리안 마리아스(Julián Marías), 강유원·박수민 옮김, «철학으로서의 철학사», 유유, 2016 .